티스토리 뷰
유튜브 검색기록 삭제하는 방법과 저장 설정 해제하기 절차를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원치 않는 알고리즘 추천 영상 목록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최근 유튜브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해 더욱 정교하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파생되는 '알고리즘 감옥'에 피로감을 느끼는 사용자도 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5년 최신 앱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모바일과 PC에서 간편하게 기록을 지우고, 앞으로 기록이 남지 않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모바일 앱에서 검색기록 즉시 지우기
스마트폰을 이용해 유튜브를 시청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만큼, 모바일 앱에서 직관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최신 업데이트된 인터페이스에서는 '내 페이지' 탭이 핵심입니다.
1. 개별 검색어 삭제 (간편 방법)
가장 빠르게 특정 단어만 지우고 싶다면 돋보기 아이콘을 누르세요. 최근 검색한 목록이 뜨면, 지우고 싶은 검색어를 길게 꾹 누릅니다. 이후 나타나는 '검색기록에서 삭제' 팝업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단어가 즉시 사라집니다.
2. 전체 기록 일괄 삭제
쌓여있는 모든 데이터를 한 번에 정리하려면 설정 메뉴로 진입해야 합니다.
- 앱 우측 하단의 [나(프로필)] 탭을 선택합니다.
-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 [설정] 아이콘을 터치합니다.
- [전체 기록 관리] 메뉴로 들어갑니다.
- '삭제' 버튼을 누르고 [모든 데이터 삭제]를 선택하면 과거의 모든 검색 및 시청 이력이 초기화됩니다.
저장 설정 해제 및 자동 삭제 기능 활성화
매번 수동으로 지우는 것이 번거롭다면, 애초에 기록이 남지 않도록 '기록 일시중지' 기능을 켜거나 일정 기간 후 자동으로 사라지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록 저장 끄기 (일시중지)
'전체 기록 관리' 페이지의 '제어' 탭에서 [사용 중]이라고 표시된 부분을 터치하여 [사용 중지]로 변경합니다. 이렇게 하면 이후부터 검색하거나 시청한 영상이 구글 계정에 저장되지 않아 알고리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자동 삭제 옵션 활용
기록을 완전히 끄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자동 삭제' 기능을 추천합니다. 3개월, 18개월, 36개월 단위로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한 기간이 지난 데이터는 시스템이 알아서 영구적으로 폐기합니다.
PC 웹 환경 및 시크릿 모드 활용 팁
데스크톱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구글 계정 활동 제어 페이지를 통해 관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일회성으로 기록을 남기지 않고 싶다면 '시크릿 모드'를 적극 활용하세요.
- PC 접속 시: 왼쪽 메뉴의 [기록] 탭에서 우측의 [검색 기록 모두 지우기]를 클릭하여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시크릿 모드: 프로필 사진을 클릭하고 [시크릿 모드 사용]을 켜면, 해당 세션에서의 모든 활동은 로그아웃 즉시 휘발되므로 별도의 삭제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유튜브 기록 관리 1분 Q&A
검색기록을 삭제하면 추천 영상도 바뀌나요?
네, 맞습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검색어와 시청 기록을 기반으로 영상을 추천합니다. 따라서 기록을 모두 삭제하면 알고리즘이 초기화되어, 평소 관심 없던 주제가 사라지거나 새로운 형태의 추천 목록이 형성됩니다.
삭제된 기록을 다시 복구할 수 있나요?
아니요, 불가능합니다. 한 번 삭제된 검색 및 시청 기록은 구글 서버에서 영구적으로 제거되므로 복구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시청 목록이 있다면 삭제 전 '나중에 볼 동영상'이나 재생목록에 따로 저장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계정이 여러 개인데 한 번에 삭제되나요?
아니요, 기록 삭제는 로그인된 해당 계정에만 적용됩니다. 만약 브랜드 계정이나 가족 공용 태블릿 등 다른 계정을 사용 중이라면, 각 계정으로 전환하여 개별적으로 삭제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