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기초연금, 뭐가 달라진 거야?
와, 벌써 2025년이라니! 시간 진짜 빠르죠? 나이 먹는 것도 서러운데, 매년 바뀌는 기초연금 기준까지 챙기려니 머리가 지끈지끈해요. 솔직히 저만 그런 거 아니잖아요? 주변에 어르신들 보면 "나도 받을 수 있나?" 하면서 물어보는 분들 엄청 많아요. 그래서 제가 이번에 작정하고 2025년 기초연금을 싹 다 파헤쳐 봤어요! 따끈따끈한 최신 정보에 제 경험까지 팍팍 넣어서, 여러분 귀에 쏙쏙 박히게 알려드릴게요.
1. "도대체 소득이 얼마여야 받는 거야?" 이게 젤 궁금하죠?
기초연금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바로 소득 기준이죠. 2025년에는 혼자 사는 분들은 월 소득인정액이 228만 원 이하여야 하고, 부부는 364만 8천 원 이하여야 한대요. 여기서 '소득인정액'이 좀 골치 아픈데, 쉽게 말해서 월급에다가 재산을 돈으로 환산한 금액을 더한 거예요. 예를 들어 월급은 좀 적어도 집이나 땅이 있으면 기준을 넘을 수도 있다는 거죠.
제가 아는 분은 작은 아파트 하나 가지고 있었는데, 그거 때문에 소득인정액이 조금 넘어서 기초연금을 못 받으셨어요. 얼마나 속상해하시던지… 근데 이번에 기준이 작년보다 좀 올라갔어요. 혼자 사는 분들은 15만 원, 부부는 24만 원 정도 더 받을 수 있게 된 거죠. 물가 오른 거 생각하면 당연한 변화 같기도 하고, "이제 좀 더 많은 분들이 받을 수 있겠네?" 하는 기대감도 생기더라고요. 혹시 작년에 아깝게 탈락했던 분들은 이번에 다시 한번 알아보세요!
2. "얼마나 더 받는 건데?" 솔직히 이게 젤 중요하잖아요!
2025년 기초연금 기준연금액은 34만 2,510원으로 올랐어요. 작년보다 7,700원 정도 오른 건데, 물가상승률 2.3%가 반영된 거래요. "겨우 7천 원?" 할 수도 있지만, 어르신들한테는 이 돈이 진짜 큰 도움이 돼요.
예전에 할머니 댁에 갔다가 기초연금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할머니가 "이 돈으로 쌀이랑 반찬 좀 사놓는다"고 하시더라고요. 그 말 듣고 나니까 몇천 원 차이도 정말 소중하게 느껴졌어요. 특히 혼자 사시는 분들은 더 그렇겠죠. 아, 물론 이 금액은 모든 사람이 다 받는 건 아니고, 국민연금 받는 금액에 따라서 달라지니까, 이 부분은 뒤에서 더 자세히 얘기해 볼게요.
3. "소득인정액 계산, 너무 복잡한 거 아냐?" 완전 공감!
솔직히 저도 처음 소득인정액 계산법 들었을 때 머리가 터질 뻔했어요. 소득평가액에다가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더한다는데, 이게 또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엄청 복잡하거든요. 소득평가액은 월급에서 112만 원을 뺀 금액이고, 재산은 집이나 금융자산을 돈으로 바꿔서 계산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월급이 150만 원이면 112만 원 빼고 38만 원이 소득평가액이 되는 거죠. 여기에 집값이 1억 원이면 기본재산액(지역마다 다른데, 대략 9천만 원 정도)을 빼고 소득환산율을 적용해서 더하는 식이에요. 계산하다 보면 "내가 이걸 왜 하고 있지?" 싶을 때도 있는데, 그래도 내가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 알아보려면 한 번쯤 해보는 게 좋아요. 보건복지부 사이트에 모의계산기가 있으니까, 거기서 한번 돌려보세요. 기초연금 모의계산기 여기서 바로 해볼 수 있어요!
기초연금
기초연금제도 소개, 대상, 혜택, 보도자료, 홍보영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basicpension.mohw.go.kr
4. "차 있으면 못 받는다던데, 이제 좀 달라졌나?" 궁금하셨죠?
차량 기준 때문에 고민했던 분들, 집중하세요! 예전에는 배기량 3,000cc 넘거나 차값이 4천만 원 이상이면 고급차로 분류돼서 소득에 전부 반영됐어요. 근데 2024년부터 배기량 기준이 없어졌고, 2025년에도 이 기준은 그대로 유지돼요. 이제 차값만 4천만 원 아래면 된다는 거죠.
제가 아는 아저씨는 중고차를 타고 다니는데, 배기량 때문에 기초연금을 못 받으셨어요. 그때 엄청 억울해하셨던 기억이 나요. "차가 뭐 그리 좋은 것도 아닌데…" 하시면서. 이제 그런 불만은 좀 줄어들 것 같아요. 특히 전기차 타는 분들한테는 희소식이죠. 환경 생각해서 타는 차인데 소득 계산에서 불이익을 받으면 얼마나 억울하겠어요.
5. "국민연금 받으면 기초연금은 어떻게 되는 거야?" 이게 젤 헷갈리죠?
국민연금을 받으면 기초연금이 줄어들 수 있어요. 2025년 기준으로 국민연금 월 수령액이 51만 3,765원(기초연금액의 1.5배)을 넘으면 기초연금이 깎인대요. 예를 들어 국민연금을 60만 원 받으면 기초연금은 25만 원 정도만 나오는 거죠.
이것 때문에 "그럼 국민연금 받는 게 손해 아니야?" 하는 분들도 봤어요. 근데 국민연금을 많이 받으면 생활비 걱정은 좀 덜하니까 꼭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어요. 다만 국민연금을 적게 받는 분들은 기초연금이 정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저희 집 옆집 할아버지는 국민연금을 조금씩 받는데, 기초연금 덕분에 숨통이 트인다고 하시더라고요. 그러니까 이건 개인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느껴질 것 같아요.
6. "공무원연금 받으면 기초연금은 아예 못 받는 거야?" 안타깝지만…
이건 좀 아쉬운 소식이죠.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별정우체국연금을 받는 분들은 원칙적으로 기초연금을 못 받아요. 배우자도 마찬가지고요. 근데 예외는 있어요. 재직 기간이 10년 미만이라 연계퇴직연금을 받는 경우나, 장해보상금을 받은 지 5년이 지난 분들은 소득 기준만 맞으면 받을 수 있대요.
예전에 공무원 하셨던 분이 "나도 기초연금 받으면 좋을 텐데…" 하시던 게 생각나네요. 그분은 퇴직금으로 생활하시는데, 물가가 오르니까 좀 빠듯하다고 하셨거든요. 이런 예외 조항 덕분에 희망을 가질 수 있는 분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여전히 제외라서 아쉬움이 남아요.
7. "신청하려면 뭐부터 해야 해?"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
신청을 생각하는 분들, 걱정하지 마세요! 먼저 주민센터에 가서 신청서를 쓰면 돼요. 온라인으로도 가능하니까, 복지로 사이트에 들어가 보세요. 주민등록증이랑 통장 사본 정도 챙기면 되고, 소득이나 재산 조사는 좀 기다려야 해요.
전에 친척분 신청을 도와드린 적이 있는데, 서류 준비보다 조사가 더 오래 걸리더라고요. "언제쯤 나오려나?" 하시면서 기다리다가 결국 받으시고는 엄청 좋아하셨어요. 그 웃음을 보면서 "이런 정보 좀 더 알려줘야겠다" 싶었죠. 여러분도 늦기 전에 꼭 한번 알아보세요!
8. "2025년에는 얼마나 더 많은 사람이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시죠?
이번에 기준액이 올라가면서 수급자가 더 늘어날 거라는 이야기가 많아요. 2024년에는 약 736만 명이 받았는데, 2025년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죠. 물가도 오르고, 노인 인구도 많아지니까 자연스러운 변화 같아요.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숫자만 늘어나는 게 아니라, 정말 필요한 분들에게 제대로 갔으면 좋겠다고요. 가끔 "소득이 조금 넘어서 못 받는다"는 분들을 보면 안타까워요. 제 친구네 할머니도 작년에 딱 몇만 원 차이로 탈락하셨는데, 그때 좀 속상했어요. 이번에는 그런 분들에게도 기회가 갔으면 좋겠어요.